sk하이닉스 배당금 지급일 기준일 배당일자 총정리
SK하이닉스 2025년 배당금 지급 일정
배당 관련 주요 일정
항목 | 날짜 | 설명 |
배당 기준일 | 2025년 2월 28일 | 이 날 주식을 보유한 주주에게 배당금 지급 자격이 부여됩니다. |
배당락일 | 2025년 2월 26일 | 배당 권리가 사라지는 날로, 이 날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마지막 매수일 | 2025년 2월 25일 | 배당을 받기 위해 주식을 매수해야 하는 마지막 날입니다. |
주주총회일 | 2025년 3월 27일 | 배당금 지급을 승인하는 주주총회가 개최되는 날입니다. |
배당금 지급일 | 2025년 4월 25일 예정 | 주주총회 승인 후 1개월 이내에 배당금이 지급됩니다. |
배당금 세부 내역
- 보통주 1주당 배당금: 1,305원
- 총 배당금 규모: 약 8,996억 원
- 시가배당률: 약 0.6%
이번 배당금은 기존 분기 배당금(주당 900원)을 제외한 금액으로, 연간 잉여현금흐름(FCF)의 5%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SK하이닉스 주가 전망 (2025년 기준)
긍정적인 요인
- HBM3E 및 HBM4 기술 선도
-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인 H20과 GB300에 대응하는 HBM3E 8단 및 12단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확보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 AI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센터의 메모리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는 제품을 공급하여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실적 개선 전망
- KB증권은 SK하이닉스의 2025년 매출이 전년 대비 23% 증가한 81조 원, 영업이익은 31조 1,000억 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부정적인 요인
- 낸드플래시 시장의 경쟁 심화
- 낸드플래시 부문은 공급 과잉과 가격 경쟁으로 인해 수익성 악화 우려가 존재합니다. SK하이닉스는 생산량 조절과 eSSD 중심의 전략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 미국의 관세 정책 및 글로벌 경기 둔화 등 외부 요인이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 배당락일 이전 매수 필요: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인 2025년 2월 26일 이전에 주식을 매수해야 합니다.
- 주가 변동성 고려: 배당락일 이후 주가는 배당금만큼 하락할 수 있으므로, 단기 투자자는 주가 변동성에 주의해야 합니다.
- 장기 투자 관점 필요: HBM3E 및 HBM4 기술의 성장성과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 등을 고려할 때,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SK하이닉스는 기술력과 시장 수요를 바탕으로 긍정적인 실적 전망을 보이고 있습니다. 투자 시에는 배당 일정과 주가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기업 개요
- 정식 명칭: SK하이닉스 주식회사 (SK hynix Inc.)
- 설립 연도: 1983년 (현대전자산업으로 출발)
- 본사 위치: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경충대로 2091
- 대표이사: 박정호, 곽노정
- 상장 정보: 한국거래소(KRX) 종목코드 000660
- 주요 제품: DRAM, NAND 플래시, CMOS 이미지 센서(CIS), 고대역폭 메모리(HBM),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
- 글로벌 생산 거점: 한국(이천, 청주), 중국(우시, 충칭, 다롄)
- 글로벌 R&D 센터: 미국, 이탈리아, 대만, 벨라루스 등
기업 연혁 및 성장 과정
SK하이닉스는 1983년 현대전자산업으로 출발하여, 2001년 하이닉스(Hynix)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2012년 SK텔레콤의 인수를 통해 SK그룹에 편입되어 현재의 사명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주요 제품 및 기술력
1. DRAM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고속 메모리로,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RAM 시장에서 약 28%의 점유율을 보이며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 NAND 플래시
저장장치인 SSD, USB, 메모리 카드 등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SK하이닉스는 글로벌 NAND 시장에서 약 19%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5위권 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3. 고대역폭 메모리(HBM)
AI 및 HPC 분야에서 필수적인 고속 메모리로, SK하이닉스는 세계 최초로 12단 HBM3E를 양산하며 엔비디아 등 주요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4. CMOS 이미지 센서(CIS)
스마트폰 카메라, 자율주행차, 보안 시스템 등에 사용되는 이미지 센서로, SK하이닉스는 'Black Pearl' 브랜드로 고성능 CIS를 제공하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댓글